[위생 지식 창고]

식당 청소나 카페 청소가 고민이라면? 청결한 주방을 만드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식당 청소나 카페 청소가 고민이라면? 청결한 주방을 만드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식음료 매장을 깨끗하게 관리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튀기고 볶다 보면 조리 공간은 쉽게 오염되고, 조리도구는 단순히 씻는다고 끝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살균이 필요하죠. 기름부터 조리 재료까지 마구 튀다 보니 바닥은 금방 미끄러워지고요. 식당 청소를 할 때 이렇게 챙길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보니 어떤 부분은 소홀해지거나 놓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세세한 부분도 놓치지 않는 꼼꼼한 위생 관리를 위해, 케어원에서 식음료 매장 청소할 때 반드시 챙겨야 할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으니 확인해 보세요!




식음료 매장 청소를 위한 필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음료나 음식을 제공하는 매장이라면, 청소할 때 공통으로 점검해야 하는 일일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준비해봤어요. 매일 점검해서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고, 혹시 모를 위생 점검에 대비해 보세요.

 
식당 청소 공통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잠깐! 이런 경우라면 식당 청소에 더 신경 써주세요 

식당 청소할 때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를 공유해 드렸는데요. 사실 같은 식음료 매장이라도 업종이나 판매하는 메뉴에 따라서 청소 구역은 조금씩 달라집니다. 빵을 만드는 베이커리와 치킨을 튀기는 호프집은 각별히 신경 써서 청소해야 하는 영역도, 청소 방법도 다르죠. 그중에서도 관리가 까다로운 매장 주방 사례와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베이커리 카페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베이커리 카페에서 하루 종일 커피 내리고 빵을 굽다 보면 정말 피곤하죠. 하루를 마감하며 청소까지 꼼꼼하게 하기가 쉽지 않아 놓치는 부분들이 생기는데요. 힘들더라도 카페 청소할 때 아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는 꼭 챙겨주세요.


베이커리 카페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카페 제빙기 청소 관리를 했나요?

여름철 카페 제빙기 청소는 깨끗한 얼음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에요. 제빙기를 청소하지 않으면 안에 물때가 많이 끼게 되고,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그 자체로도 완제품이자 식재료로 분류되어 정부 관리 대상이에요. 얼음에서 곰팡이나 식중독균이 적발된다면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해요.


매일 제빙기 외부를 닦고, 1주일에 1번씩 내부 벽면을 청소해 주세요. 적어도 2주에 1번은 내부 부품을 분해한 완전 분해 청소를 권장하지만, 관리가 어렵다면 월 1회 이상은 반드시 카페 제빙기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 주세요.



📝  케어원 Tip. 월 1회 이상 필수! 카페 제빙기 청소 방법 

  1. 제빙기 전원을 끄고, 안의 얼음을 다 퍼냅니다.
  2. 내부 부품을 분해하고 부드러운 수세미로 세척합니다.
  3.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세제로 제빙기 내부를 살균하고 잘 닦아줍니다.
  4. 새 행주나 페이퍼 타월로 물기를 제거합니다.
  5. 바짝 건조한 부품을 다시 조립해 줍니다

✅제품마다 부품 분리와 세척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주방 바닥에 커피 가루가 남지 않게 잘 닦았나요? 

베이커리 카페는 주방 바닥에 밀가루, 버터, 설탕, 커피 가루 등이 사방에 튀어서 미세한 흔적이 많이 남는다는 특징이 있어요.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아 놓칠 수도 있는데요. 매일 신경 써서 닦지 않으면 쌓여서 착색이 생기기도 하고, 끈적끈적하게 불쾌한 느낌이나 퀴퀴한 냄새를 남기기도 합니다. 깨끗해 보이더라도 매일 바닥을 꼼꼼하게 닦아 청결을 유지해 주세요.


매장 에어컨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고 있나요? 

베이커리 카페는 밀가루 같은 가루류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에어컨에도 관련한 흔적이 가득하게 묻어 있는 경우들이 많아요. 1년에 1번 이상 에어컨을 분해해서 세척하고, 내부에 쌓인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해요.


손님들이 에어컨까지 신경을 쓰지 않을 것 같지만, 사실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거나 시각적으로 불결하다는 걸 느껴도 사장님께 말하지 않을 뿐입니다! 자칫 위생 관리를 안 하는 매장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으니, 에어컨을 반드시 정기적으로 관리해 주세요.

 


🍤기름 사용 많은 식당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청소하기 가장 까다로운 공간은 튀김 요리처럼 기름 사용이 많은 메뉴가 있는 식당이에요. 기름때 지우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식당이나 치킨집은 청소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한 달도 안 되어 후드에 기름이 엉겨 붙을 정도로 오염이 심각해지죠. 뜨거운 기름 앞에서 일하고 나서 마감 청소가 쉽지는 않겠지만, 혹시 모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꼼꼼히 챙기길 추천합니다.

기름 튀는 식당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기름이 튄 조리도구를 깨끗하게 세척했나요? 

가스레인지, 오븐, 튀김기 등 조리도구는 기름이 자주 튀기 때문에 찌든 때가 노랗게 끼기 쉬워요. 찌든 때가 끼면 위생도 불결하지만 쉽게 고장날 수 있다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기름이 튀기 쉬운 조리도구는 매일 뜨거운 물과 전용 세제를 사용해 구석구석 문질러 닦아주세요.


조리 후 바로 후드나 덕트에 튄 기름기를 닦았나요? 

후드와 덕트에 기름때가 방치된다면 불이 옮겨붙어 화재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특히 덕트 화재는 주방 밖에서 식별이 어려워 초기 진화가 어렵고, 후드를 따라 불이 건물 전체로 옮겨붙을 수 있습니다. 평소에 후드와 덕트 청소는 꼼꼼히 해야 해요.


조리 후에는 후드나 덕트, 그리고 주변의 기름기를 바로바로 닦아주세요. 알코올 성분이 들어간 세척제로 매일 마감할 때 한 번 더 닦아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매일 마감 시간 주방 바닥 청소를 잊지 않고 있나요?

치킨 같은 튀김류 조리가 많은 매장 주방의 특징 중 하나는 미끄러운 주방 바닥이에요. 그래서 바닥에 종이 상자나 신문지를 깔아 놓기도 하는데요. 종이 상자나 신문지는 시간이 갈수록 헐거워져서 자칫 잘못하면 넘어질 수 있고, 습기가 쉽게 차게 만들어 위생적으로도 매우 좋지 않습니다. 기름기가 쉽게 끼는 환경이라면 매일 마감 시간에 꼼꼼한 바닥 청소를 잊지 마세요.



🥘반찬전문점 또는 배달전문점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반찬전문점이나 배달전문점처럼 다양한 반찬이나 음식을 한 번에 대량으로 조리하는 업종은 다루는 식재료가 많고, 조리기구도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까다로워요. 특히 자주 놓치는 청소 구역은 어디일까요? 

반찬전문점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주방기기 틈새를 잘 닦고 관리하고 있나요?

주방 바닥이나 주방기기는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자주 쓸고 닦아도, 그 틈새는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배달전문점은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조리와 포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방기기 틈새나 기기 뒤편처럼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에 오염이 쉽게 쌓입니다. 관리가 소홀해지지 않도록 매일 마감 청소할 때 반드시 살펴주세요.


냉장고 등 식재료 보관 공간을 잘 관리하고 있나요? 

반찬전문점은 다양한 반찬을 한 번에 대량으로 조리하기 때문에 식재료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만큼 냉장고나 냉동실, 선반 등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가 쌓이기 쉽죠. 음식물이 흘러내리거나 바닥에 쌓이는 경우도 많으니 방치되지 않도록 자주 점검이 필요합니다.


도마, 칼 등 조리도구를 잘 세척하고 소독하나요? 

반찬전문점은 특히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리대, 도마, 칼 등 조리도구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식품 안전에 빨간 등이 켜질 수 있어요. 도마와 칼은 사용하고 나서 바로 세척해 주시고, 주기적으로 소독해 주세요. 칼의 손잡이나 조리도구의 버튼처럼 손이 자주 닿지만 소홀하기 쉬운 부분도 소독하는 걸 잊지 말아 주세요.




효율적인 주방 위생 관리를 위한 케어원의 청소 TIP 3가지

지금까지 식음료 매장 청소할 때 소홀해지기 쉬운 영역과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방법을 알아도 실제로 주방을 깨끗하게 유지하기란 쉽지 않아요. 식당 청소 때문에 고민이 많은 사장님들을 위해, 전문 위생 기업 케어원이 효율적인 주방 위생 관리를 위한 팁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관리 누락을 방지하세요 

청소 구역과 기기별로 청소 주기를 정하고 담당자, 마지막 청소일 등을 기록해 청소를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이렇게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두면, 우리 매장을 효율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통해 우리 매장의 위생 수준을 평가받을 때도 유리할 수 있어요.



💡 케어원의 tip. 음식점 위생등급제란 무엇인가요? 

음식점 위생등급제란 식약처에서 음식점의 위생 수준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예요. 자발적으로 신청하고 평가받을 수 있어요. 정부 인증제도이기 때문에 공신력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도 우리 매장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정기 점검과 직원 교육으로 위생 수준을 높여주세요  

정기적인 직원 위생 교육과 위생 점검으로 관리 수준을 유지해야 해요. 정기적으로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 위생 교육을 진행해 우리 매장의 위생 관념을 높여보세요. 오늘 케어원이 공유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로 우리 매장에 맞는 위생 점검표를 만들어서 직원 스스로 청소 상태를 점검하게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거예요. 


직접 청소 관리가 어렵다면, 전문 청소 업체가 답입니다!

주방에서 계속 눈에 띄는 해충 등 위생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신가요? 대형 제빙기 등 조리기기를 여러 대 사용하고 있어 직접 청소하기가 어려우신가요? 전문가의 확실한 청소 관리가 필요하다면 케어원과 무료 상담을 진행해 보세요. 전문 위생 업체 케어원이 카페, 패스트푸드점 등 다양한 식음료 매장의 청소 노하우를 바탕으로 더욱 꼼꼼하고 효율적인 위생 관리를 도와드릴게요!




[위생 지식창고]

식당 청소나 카페 청소가 고민이라면? 청결한 주방을 만드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식당 청소나 카페 청소가 고민이라면? 청결한 주방을 만드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식음료 매장을 깨끗하게 관리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튀기고 볶다 보면 조리 공간은 쉽게 오염되고, 조리도구는 단순히 씻는다고 끝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살균이 필요하죠. 기름부터 조리 재료까지 마구 튀다 보니 바닥은 금방 미끄러워지고요. 식당 청소를 할 때 이렇게 챙길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보니 어떤 부분은 소홀해지거나 놓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세세한 부분도 놓치지 않는 꼼꼼한 위생 관리를 위해, 케어원에서 식음료 매장 청소할 때 반드시 챙겨야 할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으니 확인해 보세요!




식음료 매장 청소를 위한 필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음료나 음식을 제공하는 매장이라면, 청소할 때 공통으로 점검해야 하는 일일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준비해봤어요. 매일 점검해서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고, 혹시 모를 위생 점검에 대비해 보세요. 


식당 청소 공통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잠깐! 이런 경우라면 식당 청소에 더 신경 써주세요 

식당 청소할 때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를 공유해 드렸는데요. 사실 같은 식음료 매장이라도 업종이나 판매하는 메뉴에 따라서 청소 구역은 조금씩 달라집니다. 빵을 만드는 베이커리와 치킨을 튀기는 호프집은 각별히 신경 써서 청소해야 하는 영역도, 청소 방법도 다르죠. 그중에서도 관리가 까다로운 매장 주방 사례와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베이커리 카페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베이커리 카페에서 하루 종일 커피 내리고 빵을 굽다 보면 정말 피곤하죠. 하루를 마감하며 청소까지 꼼꼼하게 하기가 쉽지 않아 놓치는 부분들이 생기는데요. 힘들더라도 카페 청소할 때 아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는 꼭 챙겨주세요.베이커리 카페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카페 제빙기 청소 관리를 했나요?  

여름철 카페 제빙기 청소는 깨끗한 얼음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에요. 제빙기를 청소하지 않으면 안에 물때가 많이 끼게 되고,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그 자체로도 완제품이자 식재료로 분류되어 정부 관리 대상이에요. 얼음에서 곰팡이나 식중독균이 적발된다면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해요.


매일 제빙기 외부를 닦고, 1주일에 1번씩 내부 벽면을 청소해 주세요. 적어도 2주에 1번은 내부 부품을 분해한 완전 분해 청소를 권장하지만, 관리가 어렵다면 월 1회 이상은 반드시 카페 제빙기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 주세요.


📝 케어원 Tip. 월 1회 이상 필수! 카페 제빙기 청소 방법 

  1. 제빙기 전원을 끄고, 안의 얼음을 다 퍼냅니다.
  2. 내부 부품을 분해하고 부드러운 수세미로 세척합니다.
  3.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세제로 제빙기 내부를 살균하고 잘 닦아줍니다.
  4. 새 행주나 페이퍼 타월로 물기를 제거합니다.
  5. 바짝 건조한 부품을 다시 조립해 줍니다.

✅제품마다 부품 분리와 세척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주방 바닥에 커피 가루가 남지 않게 잘 닦았나요? 

베이커리 카페는 주방 바닥에 밀가루, 버터, 설탕, 커피 가루 등이 사방에 튀어서 미세한 흔적이 많이 남는다는 특징이 있어요.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아 놓칠 수도 있는데요. 매일 신경 써서 닦지 않으면 쌓여서 착색이 생기기도 하고, 끈적끈적하게 불쾌한 느낌이나 퀴퀴한 냄새를 남기기도 합니다. 깨끗해 보이더라도 매일 바닥을 꼼꼼하게 닦아 청결을 유지해 주세요.


매장 에어컨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고 있나요?  

베이커리 카페는 밀가루 같은 가루류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에어컨에도 관련한 흔적이 가득하게 묻어 있는 경우들이 많아요. 1년에 1번 이상 에어컨을 분해해서 세척하고, 내부에 쌓인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해요.

손님들이 에어컨까지 신경을 쓰지 않을 것 같지만, 사실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거나 시각적으로 불결하다는 걸 느껴도 사장님께 말하지 않을 뿐입니다! 자칫 위생 관리를 안 하는 매장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으니, 에어컨을 반드시 정기적으로 관리해 주세요.




🍤기름 사용 많은 식당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청소하기 가장 까다로운 공간은 튀김 요리처럼 기름 사용이 많은 메뉴가 있는 식당이에요. 기름때 지우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식당이나 치킨집은 청소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한 달도 안 되어 후드에 기름이 엉겨 붙을 정도로 오염이 심각해지죠. 뜨거운 기름 앞에서 일하고 나서 마감 청소가 쉽지는 않겠지만, 혹시 모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래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꼼꼼히 챙기길 추천합니다.기름 튀는 식당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기름이 튄 조리도구를 깨끗하게 세척했나요? 

가스레인지, 오븐, 튀김기 등 조리도구는 기름이 자주 튀기 때문에 찌든 때가 노랗게 끼기 쉬워요. 찌든 때가 끼면 위생도 불결하지만 쉽게 고장날 수 있다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기름이 튀기 쉬운 조리도구는 매일 뜨거운 물과 전용 세제를 사용해 구석구석 문질러 닦아주세요.

조리 후 바로 후드나 덕트에 튄 기름기를 닦았나요?

후드와 덕트에 기름때가 방치된다면 불이 옮겨붙어 화재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특히 덕트 화재는 주방 밖에서 식별이 어려워 초기 진화가 어렵고, 후드를 따라 불이 건물 전체로 옮겨붙을 수 있습니다. 평소에 후드와 덕트 청소는 꼼꼼히 해야 해요.

조리 후에는 후드나 덕트, 그리고 주변의 기름기를 바로바로 닦아주세요. 알코올 성분이 들어간 세척제로 매일 마감할 때 한 번 더 닦아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매일 마감 시간 주방 바닥 청소를 잊지 않고 있나요? 

치킨 같은 튀김류 조리가 많은 매장 주방의 특징 중 하나는 미끄러운 주방 바닥이에요. 그래서 바닥에 종이 상자나 신문지를 깔아 놓기도 하는데요. 종이 상자나 신문지는 시간이 갈수록 헐거워져서 자칫 잘못하면 넘어질 수 있고, 습기가 쉽게 차게 만들어 위생적으로도 매우 좋지 않습니다. 기름기가 쉽게 끼는 환경이라면 매일 마감 시간에 꼼꼼한 바닥 청소를 잊지 마세요. 



🥘반찬전문점 또는 배달전문점 청소를 위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반찬전문점이나 배달전문점처럼 다양한 반찬이나 음식을 한 번에 대량으로 조리하는 업종은 다루는 식재료가 많고, 조리기구도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까다로워요. 특히 자주 놓치는 청소 구역은 어디일까요? 반찬전문점 청소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


주방기기 틈새를 잘 닦고 관리하고 있나요?

주방 바닥이나 주방기기는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자주 쓸고 닦아도, 그 틈새는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배달전문점은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조리와 포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방기기 틈새나 기기 뒤편처럼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에 오염이 쉽게 쌓입니다. 관리가 소홀해지지 않도록 매일 마감 청소할 때 반드시 살펴주세요.


냉장고 등 식재료 보관 공간을 잘 관리하고 있나요? 

반찬전문점은 다양한 반찬을 한 번에 대량으로 조리하기 때문에 식재료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만큼 냉장고나 냉동실, 선반 등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가 쌓이기 쉽죠. 음식물이 흘러내리거나 바닥에 쌓이는 경우도 많으니 방치되지 않도록 자주 점검이 필요합니다.


도마, 칼 등 조리도구를 잘 세척하고 소독하나요? 

반찬전문점은 특히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리대, 도마, 칼 등 조리도구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식품 안전에 빨간 등이 켜질 수 있어요. 도마와 칼은 사용하고 나서 바로 세척해 주시고, 주기적으로 소독해 주세요. 칼의 손잡이나 조리도구의 버튼처럼 손이 자주 닿지만 소홀하기 쉬운 부분도 소독하는 걸 잊지 말아 주세요.




효율적인 주방 위생 관리를 위한 케어원의 청소 TIP 3가지

지금까지 식음료 매장 청소할 때 소홀해지기 쉬운 영역과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방법을 알아도 실제로 주방을 깨끗하게 유지하기란 쉽지 않아요. 식당 청소 때문에 고민이 많은 사장님들을 위해, 전문 위생 기업 케어원이 효율적인 주방 위생 관리를 위한 팁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관리 누락을 방지하세요 

청소 구역과 기기별로 청소 주기를 정하고 담당자, 마지막 청소일 등을 기록해 청소를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이렇게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두면, 우리 매장을 효율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통해 우리 매장의 위생 수준을 평가받을 때도 유리할 수 있어요.

 

💡 케어원의 tip. 음식점 위생등급제란 무엇인가요? 

음식점 위생등급제란 식약처에서 음식점의 위생 수준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예요. 자발적으로 신청하고 평가받을 수 있어요. 정부 인증제도이기 때문에 공신력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도 우리 매장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정기 점검과 직원 교육으로 위생 수준을 높여주세요 

정기적인 직원 위생 교육과 위생 점검으로 관리 수준을 유지해야 해요. 정기적으로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 위생 교육을 진행해 우리 매장의 위생 관념을 높여보세요. 오늘 케어원이 공유한 위생 점검 체크리스트로 우리 매장에 맞는 위생 점검표를 만들어서 직원 스스로 청소 상태를 점검하게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거예요. 


직접 청소 관리가 어렵다면, 전문 청소 업체가 답입니다! 

주방에서 계속 눈에 띄는 해충 등 위생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신가요? 대형 제빙기 등 조리기기를 여러 대 사용하고 있어 직접 청소하기가 어려우신가요? 전문가의 확실한 청소 관리가 필요하다면 케어원과 무료 상담을 진행해 보세요. 전문 위생 업체 케어원이 카페, 패스트푸드점 등 다양한 식음료 매장의 청소 노하우를 바탕으로 더욱 꼼꼼하고 효율적인 위생 관리를 도와드릴게요!





법인명(상호) : (주)케어원 / 대표 : 김호영

사업자등록증번호 : 220-87-21411 / 통신판매번호 : 2020-서울강남-00029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48(역삼동, 굿잡빌딩) 케어원 사옥

대표번호 : 1577-1199  

COPYRIGHT (C) (주)케어원 All Rights Reserved.

 케어원 고객센터 1577-1199

운영시간 : 평일 09:00~18:00 /주말 및 공휴일 : 휴무